카테고리 없음

소양정에서 옛일을 회상하다(昭陽亭懷古)

김참봉 2022. 5. 24. 14:36

昭陽亭懷古  소양정회고   /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

 

漁子尋源入洞天  어자심원입동천   어부가 무릉도원 찾아가듯 고을로 들어가니

朱樓飛出幔亭前  주루비출만정전   화려한 누각이 나는 듯 수레 앞에 나타나네..

弓劉割據渾無跡  궁유할거혼무적   궁씨 유씨 나누어 차지했으나 자취가 전혀 없고

韓貊交爭竟可憐  한맥교쟁경가련   한과 맥이 서로 다투었으나 끝내 가련할 뿐이네..  

牛首古田春草遠  우수고전춘초원   우수의 옛 땅에는 봄풀이 가득하고

麟蹄流水洛花姸  린제유수낙화연   인제에서 흘러오는 물엔 떨어진 꽃이 고와라..

紗籠袖拂嗟何補  사농수불차하보   깁으로 싸고 소매로 떠는 것이 무슨 보탬이 되리오

汀柳斜陽獨解船  정유사양독해선   석양의 강가  버드나무에서 홀로 닻줄을 푸노라..

 

尋源(심원):근원을 찾다   洞天(동천):신선이 사는세계(무릉도원)  산과 내로 둘러싸인 경치가 빼어나게 아름답고 좋은 곳   朱樓(주루):붉게칠한 화려한누각    幔(만):휘장  장식없는수레    渾(혼):분간이 서지않다  흐리다    竟(경):마치다  끝나다    牛首(우수):637년(선덕여왕 6) 우수(牛首:지금의 강원도 춘천시)에 설치한 상급 지방행정구역 주(州)의 거점(牛首州)    遠(원):멀다 아득하다 많다    麟蹄(인제):(소양강상류)강원도 인제    (연):예쁘다    紗(사):깁 엷은견직물   

籠(농):대그릇    紗籠(사롱):현판(懸板) 먼지가 앉 못하도록 덮어씌우는 천    嗟(차):아아(감탄사) 탄식하다    何(하):어찌     汀(정):물가     斜陽(사양):해질 무렵에 비스듬히 비치는 햇빛 =夕陽(석양)    解船(해선):배의 밧줄을 풀다

      춘천시 봉의산 소양강변에 자리한 강원도문화재자료 1호인 춘천시 소양정(昭陽亭)

      고려말 운곡 원천석의 시를 비롯하여 매월당 김시습, 다산 정약용 등 20여개의 현판(편액)걸려있다

      소양정에서 본 소양강 풍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