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송골매) 2

새는 어떻게 날까? 매(송골매)와 참매

https://youtu.be/A96QIkiP1f4 *매(송골매 peregrine falcon)는 황조롱이 새홀리기와 같은 매목 매과 매속의 소형 맹금류로 해안과 도서 지역에 살며, 이동시기에는 내륙에서도 관찰된다. 해안가 암벽에서 번식하며, 위에 바위가 튀어 나와 있거나 오목한 곳 등 비를 맞지 않는 장소를 택한다. 둥우리는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움푹 파인 곳에 그대로 산란한다. *참매(Northern Goshawk)는 수리목 수리과 새매속의 중형 맹금류로 새매 왕새매 벌매 개구리매 말똥가리와 같은 수리매(hawk)의 일종이다. *보라매: 태어난 지 1년이 안된 매(송골매)나 참매를 잡아 길드려서 사냥에 쓰는 매 수(手)지니: 새끼때부터 길들여진 매 날지니: 야생으로 사는 매

카테고리 없음 2022.09.10

참매 먹이 약탈하는 수리부엉이

https://youtu.be/HN2um2qf828 참매(Northern Goshawk)는 비슷하게 생긴 매목 매과의 매(송골매)와 달리 수리목 수리과 새매속에 속하는 맹금류로 얼핏 보기에 비슷할 뿐 실제로는 치상돌기, 홍채, 날개, 깃털, 사냥방식 등등 매(송골매)와 여러모로 차이가 많이 난다. 해동청이라 불리며 중국에서도 탐을 냈다는 매는 참매가 아니라 송골매라고 불리는 그냥 매(송골매)로 영명은 falcon이며, 참매는 매(falcon)와 외형상 차이가 뚜렷하지만 참매라는 이름과 비슷한 생김새 때문에 일반인들은 자주 헷갈리는 편이다.. 보라매는 태어난 지 1년이 되지 않은 매(송골매)나 참매의 새끼가 사냥용으로 길들여졌을 때 부르는 말이다. 어려서 길들이기 쉽고 활동력이 왕성해 사냥용 매로는 최고로..

카테고리 없음 2022.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