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27

대중가요의 골목길-강원 춘천(인간축음기 음색마녀 신미래)

대중가요의 골목길(25)-강원 춘천 나른한 안개로 감싼 봄내, 호반의 춘천 춘천이라는 이름을 부르면 봄이 나른하게 다가온다. 겨우내 얼었던 물이 풀리고 안개가 일상처럼 뒤덮여 오면 산과 물에 싸인 춘천은 봄내(春川)다워 진다. 물을 끼고 있는 고을 가운데 평양 다음으로 살만한 곳이 춘천이라 했던가. 춘천은 오래도록 비탈 많은 강원도의 수도다. 열여덟 소양강 처녀가 지는 해에 그리워한, 남쪽 마을로 간 연인, 봄내의 가을 여인 김추자가 견딜 수 없는 몸을 흔들며 노래 부른 먼 곳의 님도 북한강을 따라 춘천을 떠나갔을 터이다. 통기타를 들고 기차를 타던 젊음은 이제 iTX 청춘열차 2층 칸으로 가볍게 춘천행에 오른다. 예술과 문화의 향기가 머물던 춘천의 명동은 닭갈비 굽는 냄새가 그득하다 아껴두었던 춘천으로..

나의 이야기 2021.04.18

파격시(破格詩)..김병연,김삿갓,김립

파격시 破格詩 천장거무집 天長去無執 화로접불래 花老蝶不來 국수한사발 菊樹寒沙發 지영반종지 枝影半從地 강정빈사과 江亭貧士過 대취복송하 大醉伏松下 월이산영개 月移山影改 통시구리내 通市求利來 漢字의 讀音을 이용함! 천장에 거미집 끼고 화로엔 겻불 냄새 국수는 한 사발 지령(간장)은 반 종지 강정과 빈사과 대추와 복숭아 워리 사냥개야 통시(변소) 구린 냄새 맡고 오냐 하늘이 하도 길어서 가서 잡을 수도 없고 꽃이 지니 나비도 찾아오지 않는다 국화는 추운 모래밭에 피고 나뭇가지는 땅을 향해 반쯤 늘어졌구나 강가 정자에 가난한 선비 지나다 크게 취해 소나무 밑에 엎어졌구나 달이 기울어 산 그림자 바뀌고 장사꾼은 시장에서 돈 벌어 온다네. *天長去無執 花老蝶不來(출전: 推句) *거무집: 거미집의 방언 *접불?겻불 *..

나의 이야기 2021.04.14

한국 검찰(검사)의 현주소

검사가 스스로 수사권을 포기하고 기소권만 갖겠다고 한다면 공수처가 필요했을까? 전세계 유일하게 수사권과 기소권(기소편의주의...검사비리는 기소안함)을 모두다가진 나라가 한국이다. 경찰에게 수사권을 주자고 할때마다 경찰 자질부족 (검찰개혁 말 나올때마다 경찰비리를 끄집어내고 부각시키는 언론프레이로 경찰은 아직 스스로 수사할 능력과 자질이 안되니 수사권을 주는것은 시기상조라고 홍보해왔다) 을 내세워 검찰은 경찰의 수사권 이양에 반대했는데, 문제는 1954년 형사소송법제정될때 부터 경찰은 수사권(영장청구권포함)을, 검사는 기소권(기소편의주의불인정)을 주어 상호 견재할 필요가 있었다. 첫단추를 잘못 끼운 과오가 현재 검찰개혁을 가로막고있는것이다. 인도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필리핀 콩고 르완다경찰은 우리나라경찰..

나의 이야기 2020.12.18

19세기 영국 빅토리아시대 풍속화

세상을 살아가는 데 공감능력은 중요하다. 상대의 생각이나 기분, 상황이나 아픔에 공감한다는 것은 대화와 소통을 위한 첫걸음이기 때문이다. 영국 빅토리아 시대 화가 브리튼 리비에르(Briton Riviere, 1840~1920)는 교감과 공감이란 주제를 표현하는데 탁월했다. 화가 집안에서 태어난 그는 아버지를 이어 4대째 화가가 됐고 그의 아내 역시 화가였다. 열두살때부터 전시를 할 정도로 재능이 뛰어났던 그는 인물이나 풍경도 그렸지만 사람과 함께 있는 반려동물을 가장 많이 그렸다. 특히 섬세한 표정과 몸짓으로 주인과 교감하는 반려견 그림으로 큰 인기를 끌었는데, 그중 이 그림이 가장 유명하다. 화면에는 파란 드레스를 입은 어린 소녀와 하얀 개가 등장한다. 낮에 무슨 말썽을 피웠는지 여느 때보다 일찍 잠자..

카테고리 없음 2020.10.09

11대방조..18세 삼연공(諱창흡)할아버지

김창흡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김창흡(金昌翕, 1653년 ~ 1722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학자이며 시인이다. 본관은 (신)안동. 자는 자익(子益). 호는 삼연(三淵). 시호는 문강(文康). 서울 출신으로 좌의정 김상헌의 증손이며 영의정 김수항의 셋째 아들이다. 또한 영의정 김창집, 예조판서 지돈녕부사 김창협의 동생이며, 순조때 우의정을 지낸 김달순의 고조부이다. 조선후기 노론을 대표하는 가문으로서 이이(李珥)·송시열(宋時烈)의 학맥을 계승 하였으며, 형 김창협과 함께 성리학과 문장으로 널리 이름을 떨쳤다. 이기설에서는 이황(李滉)의 주리설과 이이(李珥)의 주기설을 절충한 형 김창협과 같은경향을 띠었다. 과거에는 관심이 없었으나 부모의 명으로 응시하여 1673..

나의 이야기 2020.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