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27

청풍계 장의동(장동) 김영 김번 김상용 김상헌 김수항 집터

청풍계 옥류동계곡 장동(장의동),김영 김기보 김상용,김번 김상헌 김수항 집터 조선 최고의 명당으로 꼽히고 있는 서울 종로구 궁정동 무속헌(無俗軒:속됨이 없는 집)는 현재 주한 로마교황청대사관(서울 궁정동 2-2번지)이 위치해 있다. 청음 김상헌선생이 1624년(인조 2)에 친필로 작성한 호적초(戶籍草)에는 북부 명통방 제일리(北部 明通坊 第一里)로 기록되어있다.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 서윤공 묘소와 같이 집터(무속헌)도 11세 학조대사(휘 永衡)가 조카 서윤공(휘 璠)을 위해 자리 잡아준 곳이다. 청풍계(淸風溪)는 본래 학조대사가 제수인 강릉 김씨, 즉 그의 막내동생인 11세 장령공(휘 永銖)의 처를 위해 정해주었다고 한다. 그후 맏아들 12세 삼당공(휘 瑛)부터 13세 김생락 14세 김기보 선생..

카테고리 없음 2022.09.16

조선시대의 소송과 원님 재판

1. 분쟁 없는 사회를 위하여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인권, 환경 등이 강조되면서 소송이 적지 않게 증가하고 있는 것 같다. 실제로 2010년도 사법연감의 기록에 따르면 2009년도에 우리나라 법원에서 처리한 민사사건이 400만이 훨씬 넘었다고 한다. 소송 중간에 취하한 건수까지 합하면 이보다 더 많을 터인데, 인구수 기준으로 소송 건수를 비교하면 특히 유럽과 같은 나라와는 비교가 불가능할 정도로 많다고 한다. 한마디로 지금 한국은 ‘소송공화국’이라 할 만한다. ‘민사전자소송’ 안내 2011년 5월부터 민사사건의 경우 인터넷을 통한 소송 접수가 가능하였다. 전자소송은 시간과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고 개인이 법원에 소장을 제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변화하는 시대의 새로운 흐름으로 주목된다. 출처 : 서울지하철 ..

카테고리 없음 2022.09.13

휴암 김상준의 영광군수 재직기간(임진왜란 난중일기 강항)

휴암공의 영광군수 재직기간은 1595년6월~1597년8월이 정확합니다. 1595년4월 강원도 순안어사에서 파직당하고 얼마안있어 1595년6월에 영광군수로 임명되셨고(전임군수 정연) 햇수로 3년(1595.6~1597.8)근무하시다가 정유재란이 일어나면서 1597년8월에 관찰사의 종사관으로 가시게 됩니다. *전임 영광군수 정연(丁淵)은 임진왜란때 맹활약한 정걸장군의 아들이다. *정걸(丁傑, 1514~1597)은 조선중기의 무신으로 자는 영중(英中), 호는 송정(松亭), 본관은 영광이다. 1544년 무과에 급제하여 훈련원봉사, 선전관, 서북면 병마만호를 역임했다. 을묘왜변때 해남·강진 등지에 출몰한 왜구를 무찌른 공을 세워 남도포 만호가 되었다. 이후 부안현감, 온성부사, 종성부사, 경상우수사, 전라좌수사, ..

카테고리 없음 2022.09.13

새는 어떻게 날까? 매(송골매)와 참매

https://youtu.be/A96QIkiP1f4 *매(송골매 peregrine falcon)는 황조롱이 새홀리기와 같은 매목 매과 매속의 소형 맹금류로 해안과 도서 지역에 살며, 이동시기에는 내륙에서도 관찰된다. 해안가 암벽에서 번식하며, 위에 바위가 튀어 나와 있거나 오목한 곳 등 비를 맞지 않는 장소를 택한다. 둥우리는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움푹 파인 곳에 그대로 산란한다. *참매(Northern Goshawk)는 수리목 수리과 새매속의 중형 맹금류로 새매 왕새매 벌매 개구리매 말똥가리와 같은 수리매(hawk)의 일종이다. *보라매: 태어난 지 1년이 안된 매(송골매)나 참매를 잡아 길드려서 사냥에 쓰는 매 수(手)지니: 새끼때부터 길들여진 매 날지니: 야생으로 사는 매

카테고리 없음 2022.09.10

새를 홀려서 잡는다는 새홀리기

https://youtu.be/tPViNYJjbdA 서울 문래동 도심 골프장에 둥지를 튼 황조롱이(kestrel)와 매(송골매) 4촌 새홀리기(새호리기 Eurasian Hobby).. 둥지로 향하는 급속하강 속도(300km/h)가 송골매(기네스기록389km/h)만큼 빠르네요..이름이 너무 이쁘지요^^ 봄 가을철에 우리나라를 지나가는 나그네새로 알려졌으나 최근 여름철 전국 각지에서 번식이 확인되어 일부는 텃새화되었다고 한다(시베리아 몽고 북중국 한국 일본에서 번식하고 동남아시아에서 월동) 자연환경이 좋아져 주변에서 쉽게 볼 수있기를 바랍니다.. *매(falcon)는 매목 매과 매속의 소형 맹금류로 여기엔 매(송골매 Peregrine falcon) 황조롱이 쇠황조롱이 비둘기조롱이 새홀리기 헨다손매(세이카매)..

카테고리 없음 2022.08.17

철도원 ost(Il Ferroviere/The Railroad Man 1956년)

https://youtu.be/vfxbbHSnHGE 전후(戰後) 이탈리아 서민의 팍팍한 일상과 따뜻한 정, 가족 구성원의 분열과 화해를 그린 ‘철도원(Il Ferroviere)’은 이탈리아 제노바 출신 피에트로 제르미(Pietro Germi 1914~1974) 감독의 필모그래피(지금까지 연출한 영화 작품 리스트)에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걸작 중 하나다. 그가 감독, 각본, 주연 등 1인 3역을 소화한 ‘철도원’은 철도노동자(철도기관사)로서 권위적인 아버지, 인자하기 그지없는 현모양처 어머니, 백수로 빈둥거리는 큰아들, 혼전 임신과 순탄치 못한 결혼생활로 늘 삐거덕거리는 딸, 가족의 사랑을 한 몸에 받으며 아버지를 영웅처럼 대하는 귀염둥이 막내 등 복닥거리는 다섯 식구의 캐릭터와 사건·사고를 치밀한 극사..

카테고리 없음 2022.08.14

시네마천국 ost (Love Theme)

https://youtu.be/UlrxsQuFcao 이태리 시칠리아 태생의 영화감독 주세페 토르나토레(Giuseppe Tornatore 1958~ )가 1988년 연출한 이태리 영화로 영화를 광적으로 좋아했던 한 영화 매니아의 유년기부터 장년기까지의 일생을 다룬 영화이다. 중년 영사기사 알프레도와 영화를 좋아하는 소년 토토의 나이 차를 뛰어넘는 우정 등으로 지금까지 걸작으로 회자되고 있다. 이태리 로마 태생의 영화음악의 거장 엔니오 모리꼬네(Ennio Morricone 1928~2020)의 아름답고 감미로운 선율의 영화 ‘시네마 천국’ OST인 ‘시네마 파라디소(Cinema Paradiso)’, ‘러브 테마(Love Theme)’는 엔니오 모리꼬네의 명곡 중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음악이다..

카테고리 없음 2022.08.14

겨울철 한강에서 볼수있는 대형 수리(흰꼬리수리 참수리)

https://youtu.be/k0A6aH16DQ8 참수리(Steller's Sea Eagle)와 흰꼬리수리(White-Tailed Sea Eagle)는 북미에 사는 미국의 국조 흰머리수리(Bald Eagle)와 함께 수리목 수리과 흰꼬리수리속에 속하는 친척관계의 맹금류로 날개편 길이가 1.9~2.5m정도의 대형 eagle이다. 여기에 검수리(검독수리 Golden Eagle)를 포함하여 이 4개체가 직접 사냥하는 eagle중엔 제일 크다. 흰꼬리수리속의 3개체 모두 꼬리가 흰색이고 부리가 노란색이다. 참수리는 노란색큰부리에 날개어깨죽지가 흰색이고 흰머리수리는 꼬리와 머리가 흰색이며 흰꼬리수리는 꼬리가 흰색이다. 4개체중 참수리가 조금 더 크고(평균익장2.2~2.3m) 나머지 3개체(평균익장2.1~2.2m..

카테고리 없음 2022.08.11

잿빛개구리매 갈대숲을 저공 비행하다..

https://youtu.be/G-s_v1_uJjc 잿빛개구리매(Hen Harrier/ Northern Harrier/ marsh hawk) 수리목 수리과의 중형(말똥가리와 비슷한크기) 맹금류로 하천의 갈대밭 습지를 저공 비행하면서 오리 꿩같은 조류나 쥐 개구리 뱀 등를 주로 사냥한다.. 개구리 뱀 등 양서류를 주로 잡아 먹는다해서 붙혀진 이름이지만 조류 설치류(쥐)도 가리지 않는다.. 봄 가을철 우리나라를 거쳐가는 나그네새지만 일부는 월동한다.. 습지 또는 늪의 수초 위에 접시모양의 둥지를 만들고 4∼5개의 알을 낳으며 비슷한 종으로 개구리매(Eastern Marsh Harrier) 알락개구리매(Pied Harrier)가 있다.. 수리매(hawk)종이며 잿빛개구리매는 비교적 쉽게 볼수있으나 나머지 2개..

카테고리 없음 2022.08.10